모든 재료에 힘이 작용하면 축방향력이나 휨응력, 단면응력으로 나타납니다. 재료의 축방향으로 힘이 작용하면 다음과 같은 응력이 발생하다고 했습니다.
이렇게 길이 방향으로 힘 P가 작용하면 응력-변형도 곡선은 다음과 같이 나타납니다.
일단 탄성 구간에서만 살펴본다면 재료에 가해진 힘은 다음과 같은 관계를 나타냅니다.
응력의 개념에서 살펴본 것처럼 응력은 위의 두 식으로 나타낼 수 있기 때문에 두 식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관계를 유도할 수 있습니다.
■ 응력이란?
즉 어떤 재료에 힘이 P만큼 작용했을 때 그 재료가 늘어난 양은 위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식은 축방향력이 작용할 때 그 재료가 늘어나는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중요한 식입니다. 변형량은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힘과 길이에 비례하고, 탄성계수와 단면의 면적에 반비례합니다.
강성도와 유연도는 모든 재료를 동일한 기준에서 판단했을 때 그 재료가 어느 정도의 강성을 갖는지, 어느 정도의 유연성을 갖는지를 판단하는 개념입니다.
먼저 강성도는 강성도는 단위변형량 1을 유발하기 위해 필요한 힘을 말합니다.위 식에서 변형량인 ΔL에 1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은 유도할 수 있는데, 이 때의 힘 P를 강성도라고 합니다.
이 식으로 부터 변형에 저항하는 정도는 탄성계수와 단면적에 비례하고, 재료의 길이에 반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비슷한 개념으로 유연도는 단위하중 “1”에 의해 발생하는 변형을 말합니다. 따라서 하중값에 1을 대입해서 구할 수 있습니다.
어떤 재료에 동일한 힘이 작용했을 때 얼마나 변형될 것인지를 살펴보면 길이에 비례하고 탄성계수와 단면적에 반비례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구조부재가 있습니다. AB 구간의 단면적과 비교해서 BC 구간의 단면적은 2배라고 가정하겠습니다. 만일 다음과 같이 힘 P가 작용한다면 각 부재의 변형은 어떻게 될까요?
축방향력이 작용할 때 부재가 어떻게 변형될까요? 앞에서 다음과 같은 식을 유도했습니다. 이 식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
한꺼번에 해결하기는 어려우니 순차적으로 풀어보겠습니다 .우선 AB 구간은 어떻게 나타낼 수 있을까요?
어떤 경우든 힘의 평형은 유지가 되어야 합니다.
따라서 하중에 A점에서 작용하는 반력을 적용하고 부재의 길이값에 0.4L을 대입하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이제 작용과 반작용의 법칙을 고려해서 BC구간을 그려보면 다음과 같이 됩니다.
여기서 반력은 다음과 같은 관계가 있습니다.
따라서 위 그림은 B 점에서 작용하는 반력을 단순화할 수 있습니다.
위 그림을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식을 동일하게 유도할 수 있습니다
결국 반력의 관계와 최종변형을 0이 되어야한다는 관계를 부터 다음 식을 만족하는 해를 도출하면 됩니다.
결국 각 부재의 작용하는 반력은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 반력을 이욯해서 각 부재에 얼마나 변형이 발생할 것인지는 쉽게 계산할 수 있겠죠?
▶ 전단응력
축방향력 - 온도 하중과 제작 오차/ 온도 영향에 의한 반력 계 산 (1) | 2024.07.10 |
---|---|
캔틸레버보와 구조역학 (7) | 2023.01.11 |
반력 계산/ 힘의 평형/ 단순보와 구조역학 (2) | 2023.01.11 |
보의 휨모멘트와 처짐 (0) | 2023.01.11 |
축방향력과 변형, 푸아송비 (0) | 2023.01.06 |